사회·복지

2025년 농어촌 청년 지원 정책 , 한 번에 정리!

나똥 2025. 6. 16. 12:20
반응형

📌 주요 제도 ①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

 

의미 : 청년이 농촌에 정착해 농업을 꾸준히 이어나가도록, 최대 3년간 정착수당 지급 + 교육 · 컨설팅 제공

대상 : 만 18~40세 이하 (독립경영 3년 이하 ) 청년농업인

  • 지원액 :

- 1년차 매월 110만원

- 2년차 100만원

- 3년차 90만원

  • 의무사항 : 교육 이수, 농지.경영장부 기재, 영농 실천 등
  • 신청 시기/방법 :

- 공고 확인 후 온라인 (농립사업정보시스템 uni.agrix.go.kr)으로 신청



📌 주요 제도 ② 농지 임대료 지원

 

의미 : 농지 임대 부담 감소를 위해, 농지 계약 시 임대료의 50% 지원

  • 지자체 예시(경북) :

- 대상 : 만 18~39세 이하 청년농업인

- 한도 : 연 최대 2백만원까지 지원

- 신청기간 : 2025년 11월 30일까지 (예산 소진 전까지)

- 대상조건 : 농업경영체 등록 및 해당 지자체 거주



🧩 정책 연계 구조

  • 영농정착지원사업은 안정적 소득 마련 중심
  • 농지 임대료 지원은 경영비 부담 경감
  • 추가 지원 : 교육 · 컨설팅, 시설 구축 등도 지역별로 운영 중


📝 신청 팁 및 전략

 

1. 두 제도 모두 활용하면 월 110만원 + 임대료 50% 지원 가능

2. 기한과 지자체 조건 다름 : 경북, 충남, 전북 등 지역별 공고 필수 확인

3. 다른 정책과 연계 가능 : 스마트팜, 후계농자금, 창업융합 등

4. 교육 필수 : 정착지원은 의무교육 이수 조건 포함됨


농촌이 가진 가능성과 도전, 여기에 청년의 아이디어와 패기가 만나면 정말 멋진 시너지를 만들 수 있어요!

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정착지원금 + 임대료 지원을 받으면서 차근차근 영농 기반을 마련하면,

정말 건강한 농업인으로 성장할 수 있죠~

'농촌에서 살아보기' 같은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활용하면 농천 정착에 더 큰 도움 될 거예요!

반응형